728x90

최근에 비트코인에 대한 글을 썼는데..

며칠 후에 유튜브에 김일구 애널리스트 님의 비트코인에 대한 영상이 올라왔다. 

 

youtu.be/ZsDaCQLrs6k

 

저분의 생각이 궁금해서 영상을 봤는데 상당부분 나와 견해가 비슷해서 반가웠다. 

영상의 내용을 간략하게 정리하자면 ...

 

비트코인이 금과 같은 인플레 헤지수단이 될수 있느냐는 질문에 희소성이 있다면 가능하고

유연하게 바라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비트코인은 선물거래 시작을 중요한 기점으로 볼수가 있다. 

비트코인 선물은 개시 이후로 너무 원사이드(숏 사이드)로만 가버려서 거래가 중단되었던 걸로 기억했는데 그렇지 않았던 모양이다.

 

 

비트코인 선물 CME 월봉차트

 

 

 

영상에서도 언급했지만, 이전의 가격은 시장참여자가 모두 같은 사이드 (가격이 상승하면 이득)

에 있기 때문에 정상적인 가격이라고 볼수 없는데 선물거래를 시작함으로써 

반대사이드가 생기고 사고파는 기록이 쌓이면서 가격에 대한 일종의 컨센서스가 만들어진것이다. 

 

'비트코인이 가치가 있냐', '코드 쪼가리 아니냐' 라며 폄하 하는 사람도 있지만 

그동안 비트코인은 바닥에서 부터 스멀스멀 시장가치를 인정받아오고 있었다. 

 

미국에서도 비트코인을 가지고 실험을 하고 이게 도대체 어떤 성격을 띌것인지 알고 싶었는데,

선물거래를 시작했더니 하락이 이어지다가 반등이 나오더니 최근에는 금과 같은 달러의 

반대편 자산들과 움직임이 같아졌다. 

이는 나의 이전 글에서도 언급한 바 있다.

 

gamsungtur.tistory.com/28

비트코인에 대한 회고

예전에 비트코인에 대한 글을 쓴적이 있다. 당시에 내가 어떤 관점에서 비트코인을 바라보았는지 궁금해서 다시 한번 글을 읽어보았다. 비트코인에 대한 고찰 얼마전에 유튜브에 채굴장에 대한

gamsungtur.tistory.com

코로나로 증시가 바닥을 찍었을 때 같이 떡락했고 증시가 상승할때 같이 상승했다. 

시장은 이미 자산의 하나로 인정했다고 봐야한다. 

 

- 헤지수단이 될수 있는가

 

영상속의 비트코인에 대한 질문은 '달러를 마구 찍어낼때 금과 같은 대체재' 가 될수 있는가 였다.

여기에는 "희소성"이 중요한 "키" 이다. 

금이 인플레이션 헷지수단이 되는 것은 인류의 긴 역사 동안 공급량이 한정적이라는 것을

우리가 겪어왔기 때문이다. 

비트코인의 역사는 그에 비하면 매우 짧지만 공급은 2100만개로 한정되게 설계가 되어있다. 
또한 비트코인은 제도권이 아닌관계로 임자를 찾지못한 것들도 다수있다. 은행의 예금은 예금주가 죽어도 소유자를 찾고 상속이 가능하지만 비트코인은 소유자가 죽거나 콜드월렛등에서 암호를 잊어버린다면 그냥 그것은 사라지게된다.

이렇듯 공급이 한정적인 것은 맞지만 본질은 코드쪼가리인게 맞기에 기술변화로 예상못한 결과가 나올수도있다.

 

나의 의견은 비트코인을 폄하할 생각은 없다. 이미 시장은 가치를 어느정도 인정했기 때문이다. 

다만 달러의 대체제로 금도 있는데 리스크 있는 비트코인을 사고 싶지는 않다. 

 

내가 관심있게 지켜보는 것은 향후 추이인데..


중국도 처음에는 한국처럼 비트코인을 사기로 규정하고 금기시했었다. 

그러면서 뒤로는 암호화폐에 대한 연구를 이어갔는데,

그것이 현재 DCEP(Digital Currency Electronic Payment)로 불리는 중국암호화폐 까지 이어졌다.

 

중국이 왜 자신의 인민들에게는 채굴도 못하게 하고 사기로 규정하면서 DCEP라는 물건을 만들었을까 

그들은 미국의 달러가 기축통화인 현재의 시스템을 보고 자신들의 통화가 기축통화가 되는 세상을 

꿈꿨을 것이다. 

 

현재의 기조에서는 그럴일이 발생할일이 없지만 만약 화폐의 미래가 디지털이라면 

중앙집권형 구조인 중국은 개혁이 가능하지만 개인의 사익, 자유가 중요한 가치인

미국에서는 자신의 자산이 디지털화 되는 것에 대한 반발이 심할것이다. 

 

우리는 시장경제, 민주주의가 더 나은 시스템이고 일당독재, 정부주도 계획경제가 

후진적인 시스템이라고 받아들이고 있지만, 코로나로 그러한 믿음은 어느정도 깨어졌다. 

그 강한 미국이 코로나 방역에 이렇게 실패할지 누가 예상했는가.

 

물론 코로나는 매우 특이한 변화이긴 하지만, 금융의 향후 변화에서도 비슷한 일이

발생할거라고 중국정부는 믿고 있을 듯 하다. 

중국은 위안화를 디지털화해서 미래의 기축통화를 만들고 패권국이 되기를 준비하고 있다.

Posted by 돌고래트레이너
,
728x90

 

 

한국증시는 3월 19일 코스피 1400 저점을 찍고 8월 13일 2450 고점을 찍었다.

 

저금리, 저성장 기조에서  bbig 라 불리는 성장주 위주의 장세가 펼쳐졌다.

 

2400 언저리에서 3번 무너졌는데 가격부담이슈와 미 대선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모멘텀을 잃은듯 보인다. 

 

이는 미국 증시도 비슷한 양상인데 9월 2일의 12000 나스닥 고점을 현재까지 뚫지 못하고 있다. 

 

한국만의 이슈는 3억 대주주 이슈인데 코스닥이 상대적으로 더 영향을 받는 모습이다. 

 

시장이 불안하니까 잡음이 많이 나오고 있다.

 

여러 지표들이 고점을 알리고 있고 폭락이 나올것이라는 의견이 하나고,

 

미 대선이 지나면 다시 상승세를 이어갈 것이란 의견도 있다. 

 

 

최근 한국증시는 그동안 소외되었던 보험, 은행, 철강, 화학 등 가치주 라고 불이는 주식들의 강세가 이어졌다. 

 

미국증시도 비슷하다. 그동안 상승을 주도한 FAANG 으로 불리는 성장주들이 주춤한 반면 은행주들의 반짝 

 

장세가 펼쳐지는 것이 아닌가 싶은 날이 있었다. 

 

 

한국과 다른것은 미국의 성장주들은 하락은 제한적이고 가치주들의 상승이 이어지진 않았다는 것이다. 

 

한국증시가 만약에 하락세를 이어갈것이라면 코스피도 약세를 이어가야 하지만 상반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동안의 상승이 부담되고 모멘텀을 잃은것은 맞지만 아직 강세장이 끝났것은 아니고 더 들어올 자금이 아직 

 

남아있다고 볼수 있는 이유다. 

 

 

감정적으로는 3억 대주주 이슈로 코스닥 폭락하고 개미들의 원성으로 홍남기 책임론이 부상해서 해임까지 

 

이어졌으면 하지만, 그러기엔 손해보는 사람도 많고 거기까지 가진 않을것 같다. 

 

다만 3억 대주주가 결국 관철된다면 장기적으로는 미국 주식으로 빠져나가는 사람이 많아져서

 

내년초엔 반짝하고 올랐다가 사그러드는 모습이 나오지 않을까 싶다.

 

 

주식시장은 변동성이 커서 심리적인 부분이 중요하다.

 

그런 부분을 전혀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이 한 나라의 경제를 담당하고 있다는 사실이 매우 실망스럽다. 

 

 

 

 

 

 

Posted by 돌고래트레이너
,
728x90

예전에 비트코인에 대한 글을 쓴적이 있다. 

당시에 내가 어떤 관점에서 비트코인을 바라보았는지 궁금해서 다시 한번 글을 읽어보았다. 

 

비트코인에 대한 고찰 

 

얼마전에 유튜브에 채굴장에 대한 영상이 뜨길래 한번 봤다. 

그 영상을 보고 난 후 느낀 것 들

- 아직도 채굴을 하는 사람이 있다니..

- 비트코인이 뭔지 모르는 사람이 많구나

 

2017년 말에 직장인들 사이에서 비트코인 붐이 일었다.

물론 나도 동참했었고, 결과는 여느 투자자들과 다르지 않게 손해를 보고 나왔다. 

사실 꽤 오랜동안 존버를 하고 있었는데 존버를 하지 못하게 만드는 이유가 있었다. 

 

- 투자자 보호가 되지 않는다

 : 거래소가 해킹을 당하면 손실을 보전 받을수 없다.

  제도권 밖이기 때문에 투자자를 위한 안전망이 없다. 

  자산의 가치가 하락하는 리스크는 감내할수 있다.

  하지만 어느날 갑자기 거래소가 해킹을 당하고 손실을 보전해줄수 없다고 한다면 그것은 참기힘들다.

  붐이 일었던 17년 때와 달리 하락길을 접어들면서 거래량은 줄어들고 기존 뽑았던 직원들 월급을 줘야하니 

  자금사정이 어려워지는 거래소가 나오는 것은 뻔하고 이들이 퇴로 중 하나로 셀프해킹을 할 수도 있다. 

 

 

비트코인은 지금은 사기극, 희대의 거품 으로 결론이 난 것처럼 보인다.

많은 투자자들이 반토막 기본, 1/10 토막까지도 나고 시장을 떠나갔기 때문이다. 

결과가 좋으면 모든것이 좋게 보이지만 결과가 나쁘면 모든것이 나쁘게 보인다. 

 

비트코인은 한때 기존의 금융을 대체하거나 적어도 한 축을 형성할 것 같은 기세였다.

하지만 지금은 아무도 그럴수있다고 믿지 않는다. 

사실 비트코인은 실험적 이벤트였고 미국에서는 비트코인 선물거래까지 만들어 CME 에서 

거래까지 했었다. 그러나 펀더멘탈이라는 것에 의문이 붙어 선물매도세에 힘없이 하락만하다가

아직 선물거래는 이르다는 여론으로 그렇게 비트코인 선물거래는 중지되었다. 

 

비트코인 탄생의 배경은 2008 년 금융위기 이후 '달러의 타락'인데, 그 달러의 발행국인 미국은 

비트코인을 부정적으로만 보지는 않았다. 오히려 이것이 나중에 뭔가가 되지 않을까 했던 기대도 했던것 같다. 

결론은 모두가 알고있듯이 실패로 끝났지만..

 

그러나 모두가 실패로 기억하고 있는 비트코인도 스멀스멀 바닥을 형성하더니 2020.10.15일 현재

1300만원이다.  비트코인을 제외한 다른 잡코인들은 대략 십분의 일토막 나서 누워있다. 

비트코인은 적어도 시장에서 살아남은거라고 볼 수 있다. 

투자를 하지는 않지만 시세는 보고있는데 비트코인은 현재 금이나 주식같은 자산들과 움직임이 비슷하다.

코로나로 3월에 바닥을 찍었고 그후로 쭉 가격이 올라왔다. 

 

 

 

비트코인을 자산의 포트폴리오 한축에 넣을수 있을지 좀 더 지켜보자

 

 

Posted by 돌고래트레이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