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대선을 앞두고 한국 증시에서는 상법 개정에 대한 기대감이 크다. 
상법개정에 대한 배경이나 내용을 잘 모르는 사람이 많을 듯 하여 한번 정리해 보았다. 

# 주요 쟁점

이사의 충실의무 대상을 기존의 '회사'에서 '주주 전체' 로 확대.
 => 주주에 대해서도 형법상 배임죄를 부담하는지 여부가 논쟁 
 - 반대입장 : 회사의 이익은 본질적으로 이미 주주의 이익을 포함, 소송의 남발로 경영에 부정적인 영향

 

# 상법개정 들끓게 된 배경 

최근 대기업의 물적분할이나 유상증자 등으로 인해 일반 주주, 특히 소액주주들이 손해를 보는 사례가 반복되면서, 
주주 권익 보호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크게 증가.
ex) LG화학, 카카오 의 물적분할.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대규모 유상증자.
  

# 이재용 불법승계과정

이재용 승계 과정(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 등)에 대해 검찰은 배임죄 등으로 기소했으나, 1심과 2심 모두 무죄가 선고.
이는 현행 상법에 '주주에 대한 충실의무'나 '주주가치 보호'에 대한 명확한 조항이 없어 법원이 불법성을 인정하지 못했기 때문.
당시 이 사건을 담당 기소했던 검사는 이복현 당시 부장검사이며, "사법부가 법 문헌의 해석만으로는 주주보호 가치를 인정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내놓고 있다", "이재용 무죄 판결로 법령 개정 필요성 자명해져"
직을걸고 상법개정안을 통과시키려 했던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당시 대통령 권한대행이던 한덕수 총리에 의해 안이 거부됨. 

 

# 대선후보의 공약 비교

 

출처: https://cdn.emetro.co.kr/data2/content/image/2025/05/14/20250514500208.jpg

 

표에는 빠져있지만 김문수 후보는 배당 5000 이하 비과세 등 세제 혜택이 주요 정책이다. 

한덕수 당시 권한대행에 의해 거부된 상법개정안이 새로운 대선후보의 공약이 되어 오히려 더 강화된 면이 있다.  

 

728x90
Posted by 돌고래트레이너
,
728x90

삼성 SDI 는 3월 14일 이사회 결의를 통해 유상증자를 결정함.

 

신주배정 기준일은 4월 17일. 

후에 계좌에 신주인수권 "삼성SDI 40R" 이 입고됨.

4월 30일 부터 인수권 거래가 가능.

 

신주인수권이 계좌에 입고되면 주주가 할수 있는 선택지는 아래와 같은데..

1. 권리 매도

2. 권리 보유 후 청약 

3. 권리 보유 후 아무것도 하지 않음

 

3번은 앉은 자리에서 손해를 보는 것이기 때문에 권리를 매도해서 현금을 챙기거나, 청약을 통해 더 주식을 매수하는 선택을 하는 것이 낫다.

 

 

 

"삼성SDI 40R" 는 마치 일반 주식처럼 상장되어 자유롭게 매매가 가능하다. 

 

SDI 주주가 아닌 사람도 권리를 매수할수 있고, 이후 차익을 매도 할수 있고, 청약일까지 보유후 본주를 살수 있다. 

현재 5월 2일 종가는 29,650 이었고 이날 SDI 본주는 173,600 이었다.

예정발행가는 146,200 이니 현재는 조금 비싸게 (29,650 + 146,200 = 175,850) 거래되고 있다고 보는게 맞다. 

 

발행가가 변수긴 한데, 배정수량보다 더 권리를 사고 싶거나 SDI 를 신규 매수하고 싶다면 

신주인수권과 본주의 시장가를 비교해가며 이득이 된다고 판단이 되면 매수할수 있다. 

 

728x90

'equity > stock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산 조선에 대한 생각  (0) 2025.03.13
국내 반도체 기업 정리  (0) 2025.03.02
2025.02.22 LB세미콘 분석 (cb발행)  (1) 2025.02.22
[국내] 투자 할만한 배당주 알아보자  (1) 2021.09.19
S&P 500 종목 확인하기  (0) 2021.05.08
Posted by 돌고래트레이너
,
728x90

근래에 가장 핫한 섹터라고 하면 방산, 조선이 있다.

 

그러나 개인적으로는 딱히 사고 싶지 않은 그런 분야인데 조선은 구시대 산업이고 방산은 국내 기술, 영업의 한계가 있을거라 생각했기 때문인데..

 

주식은 결국 결과로 말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주가의 흐름을 보면 내 생각이 잘못된 것임을 인정 할수 밖에 없다. 

 

주식투자를 미인을 뽑는 것에 비유를 한다면, 트렌드에 따라서 미인의 기준이 바뀌는 것이 현실이다. 

 

투자자라면 미의 기준이 바뀔수 있다는 것을 받아 들이고 유연하게 판단해야 하는데...

 

사람이 모든 산업에 대해서 잘 알수가 없고 취향이라는 것이 있기 때문에 시기마다 유연하게 바뀌기 힘들다. 

728x90

'equity > stocks' 카테고리의 다른 글

sdi 신주인수권  (0) 2025.05.02
국내 반도체 기업 정리  (0) 2025.03.02
2025.02.22 LB세미콘 분석 (cb발행)  (1) 2025.02.22
[국내] 투자 할만한 배당주 알아보자  (1) 2021.09.19
S&P 500 종목 확인하기  (0) 2021.05.08
Posted by 돌고래트레이너
,
728x90

반도체의 트렌드가 변화함에 따라 최근에 코스닥 반도체 기업도 생소하거나 무슨 특징이 있는지 매핑이 잘안되는 기업들도 많이 보이는데, 정리해보자.

 

반도체 제조 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맡느냐에 따라서 반도체 기업을 분류하게되는데, 

아래 사진이 이해하기 쉽게 잘 나온것 같다. 

 

https://semiconductor.samsung.com/kr/news-events/tech-blog/from-foundry-to-fabless-an-overview-of-the-semiconductor-ecosystem/

 

 


1. 제주반도체 : 
 - 분류 : 팹리스
 - 주요제품 : 모바일용 메모리, 차량용 반도체
 - 고객사 : 퀄컴, 미디어텍, 자동차 전장업체(보쉬, 콘티넬탈, 지멘스)




2. 에이디테크놀로지

 - 분류 : 디자인하우스
 - 주요사업 : 반도체소자의 설계 및 제조(ASIC)
 - 매입처, 고객사 : 삼성파운드리

 

3. 어보브반도체
 - 분류 : 팹리스
 - 주요사업 : MCU (가정용 전자기기)
 - 매입처 : sk키파운드리 웨이퍼

 


4 가온칩스
 - 분류 : 디자인하우스
 - 주요제품 : 모바일용 메모리, 차량용 반도체
 - 고객,협력사 : 삼성 파운드리의 공식 디자인 솔루션 파트너

 

 5. 에이직랜드 
 - 분류 : 디자인하우스
 - 주요제품 : AI반도체, 차량/display 용  반도체 등 
 - 고객,협력사 : 국내 유일 TSMC 협력업체

 


# 후공정 분류

6. 하나마이크론

 - 분류 : OSAT
 - 주요제품 : 반도체 패키징, 테스트


 - 고객,협력사 : 삼성, SK하이닉스 (제조), 도쿄일렉트론, 어플라이드머티리얼즈(재료)

 


7. 두산테스나 

 - 분류 : 후공정
 - 주요제품 : SOC, CIS, MCU 웨이퍼/패키징 테스트
 - 고객,협력사 : 삼성전자




728x90

'equity > stocks' 카테고리의 다른 글

sdi 신주인수권  (0) 2025.05.02
방산 조선에 대한 생각  (0) 2025.03.13
2025.02.22 LB세미콘 분석 (cb발행)  (1) 2025.02.22
[국내] 투자 할만한 배당주 알아보자  (1) 2021.09.19
S&P 500 종목 확인하기  (0) 2021.05.08
Posted by 돌고래트레이너
,
728x90

 

1. 회사 개요 

 

- OSAT 업체 ( 디스플레이 구동칩(DDI), 전력관리반도체(PMIC), 이미지센서(CIS) 등 비메모리 반도체의 후공정 사업을 영위)

- 주요 매출처 : 삼성전자(삼성디스플레이), LX세미콘

 

 

2. 최근 근황

 

자회사 LB루셈 합병. 전환사채 발행. ( 145억원 규모, 전환가액 4285원 ) 
CB 발행의 다행인 점은 리픽싱이 없고 전량 상환 계획이라는 점 (주가 희석 없음)

그렇지만 cb발행까지 했다는 것은 사업이 순항중은 아니라는 것의 반영이고 반도체 경기가 좋아지지 않으면 

상황이 악화된다는 것. 약간 리스키한 상황.

 

27년까지 매출 1조대 목표 => 22년 5천억대에서 감소중.. 

 

삼성이 비메모리쪽 키우면서 OSAT  시장이 커질줄 알았는데, 본진도 털리는 상황이라 OSAT 쪽도 다 안좋다. 

현재 반도체 섹터에 대한 시장의 관심은 AI, ASIC, 디자인 하우스 쪽이다. 

 

회사는 DDI 쪽 의존도를 줄이려고 노력중. 최근 AI팹리스 고객을 확보했다고 하는데 

퓨리오사, 사피온, 딥엑스 중에 하나일 가능성. 

 

 

728x90
Posted by 돌고래트레이너
,
728x90

투자 관련 챙겨야 할 일자 정리

매년 달력에 표시하는데 루틴한 것들이라 상세하게 남겨놓기 

1. 정기이벤트 
 1) 선물/옵션 만기
   - 한국 
  옵션 만기 : 매달 2번째 목요일
   선물 만기 : 3/6/9/12 월 2번째 목요일
   - 미국
 옵션 만기 : 매달 3번째 금요일
 선물 만기 : 3/6/9/12 월 3번째 금요일
 2) fomc (1년 8번, 6주간격)

https://www.federalreserve.gov/monetarypolicy/fomccalendars.htm
 

 3) 잭슨홀미팅 (8월에 3일간)

https://kr.investing.com/economic-calendar/jackson-hole-symposium-1677

 

 4) 수출입통계

수출입무역통계는 산업통상자원부가 매월 1일에 전월의 수출입 동향을 발표합니다. 

관세청은 매월 중순에 확정치를 발표합니다

https://tradedata.go.kr/cts/index.do
 

5) 실적발표

 개별 관심기업 일정 


 6) 지수 편입편출 
  - MSCI
  - kospi 200 지수변경
  - kosdaq 150  지수변경


2. 비정기 이벤트
  - 증자
  - CB
  - 배당일(분/반/년)
  - 주총
  - 오버행(신규,증자)
  

728x90
Posted by 돌고래트레이너
,
728x90

현재 미국의 물가상승률이 8% 를 넘어서고 있고 시장의 관심은 인플레이션 헷지가 가능한

종목들 (ex 사료, 원자재 관련주)에 쏟아지고 있다. 

 

인플레이션 헷지 수단으로 금, 부동산, 리츠, 원자재 등이 있는데 하나씩 알아보자. 

 

- 금 : 인플레이션은 통화의 초과 공급에 따른 후속적으로 발생하는 현상인데, 금 과 같이 

   매장량, 유통량이 한정적인 유가물은 오랜시간 동안 인플레이션 헷지 수단으로 인식되었다. 

   하지만 최근에 금은 '디지털 골드' 라고 불리는 비트코인에게 많은 부분 관심을 빼앗겼다. 

   그리고 비트코인은 역시 유통량이 한정적이고 본인처럼 비밀번호를 까먹어서 주인 못 찾는 비트코인이 늘어감에 따라 좋은 인플레이션 헷지 수단이 될듯하지만, 비트코인 차트는 시중의 유동성 공급량과 더 유사하게 움직인다. 

 

- 부동산 : 부동산 또한 공급이 한정적인 측면이 있다. 하지만 최근의 유동성 증가로 이미 급격히 오른 가격이 인플레이션 때문에 더 오른다고 믿는것은 심각한 보유편향적인 의견이라고 생각이 된다. 

오히려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건설자재가격의 인상이 분양가를 높이고 높아진 분양가는 시장참여자의 흥미를 떨어뜨려 가격하락 또는 상승의 둔화를 유발할수 있는 측면이 더 있지 않을까 생각이된다. 

 

- 리츠 : 이론적으로 본다면 리츠는 좋은 인플레이션 헷지 수단이다. 그러나 실제로 내가 선택한 리츠가 어떤 자산으로 구성되어있는지 잘 알지 못한다면 주가는 나의 예상과는 다르게 움직일수 있다. 투자의 대가들이 공통적으로 말하는 원칙중에 하나가 "잘알지 못하는 주식에는 투자하지 않는다." 인데 리츠는 한꺼풀 포장되어 판매되는 상품이라 포장지를 까보고 구성물을 확인해야 하는데 개인이 얼마나 잘 체크할수 있을까..

국내리츠는 거의 거르고 외국리츠 중에 오래되고 차트의 흐름을 보고 실제로 인플레이션을 헷지 했는지 확인해보고

사는게 실패안하는 방법.

 

엄밀히 말하면 인플레이션 헷지는 인플레이션이 벌어지기전에 준비를 해놨어야 하는거고 지금은 인플레이션은 "현상"이고, 앞으로 (이미 시작했다) 우리는 금리인상기를 거치게 될것이다. 

현재는 금리인상을 어떻게 헷지 할 것인가에 고민해봐야 한다. 

 

1차적으로는 금리인상 수혜주인 금융주를 예의주시해야한다. 

본래 현금보유는 인플레이션시기에 좋은 선택은 아니지만 지금은 시장이 발작하는 시기라 이도저도 못하는 어려운 시기이다. 

앞으로는 기준금리가 일정이상이고, 금리인상이 정점에 달해 더이상 오르는 것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느껴지면

채권을 포트폴리오 차원에서 보유하는 것은 고려해 볼 시기가 올 수 있다.  

728x90
Posted by 돌고래트레이너
,
728x90

 

최근 국장, 미장 모두 많이 조정을 받았다. 

본격적 하락전에 각국 지수들을 돌려보고 상승세가 완연히 꺽였다는 것은 확인 했었는데

그런 심리를 노리고 주가하락에 크게 베팅하지 않았나 싶다. 

 

국장에서는 이미 19일에 대규모의 외인들의 풋매수가 있었다. 

 

 

이 정도 규모의 거래면 그들은 무언가 정보를 가지고 확신에 차서 방향성에 베팅을 했다는 것인데 

마침 모 전문가도 이것에 대해 코멘트를 했는데 별게 아니라고 얘기를 했다. 

많은 사람들이 보는 매체일수록 부정적인 얘기를 하는 전문가는 없다는 진리를 다시 한번 깨닫는다. 

 

가끔 외인들이 저렇게 방향을 정해놓고 베팅하는 경우가 있는데 결과적으로 모두 성공하지는 않는다. 

예전에도 북한리스크였던가 그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하방에 베팅했지만 아무일도 일어나지 않았던 전적이 있다. 

 

이번 하방베팅은 LG엔솔의 IPO 영향이 더해져서 그들이 성공한거 같다. 

 

이전에 한국증시를 저평가 시키는 요인들에 대해서 글을 쓴적 있다. 

 

https://gamsungtur.tistory.com/33

 

한국증시를 누가 저평가 시키는가

한국증시는 저평가 되었다는 이야기가 종종 나오고는 하는데.. 저평가를 만드는 요인으로 거론되는 것들이 있다  - 북한 리스크 분단국가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매번 남북긴장이 고조될 때마다

gamsungtur.tistory.com

 

그 글에서 나는 기업자체가 그러한 현상을 만든다고 글을 쓴적이 있는데, 요즘의 시장에서 터져나오는 악재들을 보면 

관행같이 바뀌지 않는 현실들이 씁쓸하다. 

 

그러나 한편으론 예전과 다름을 느끼기도 한다. 

바로 소액주주들, 개인투자자들이 많아짐에 따라 이들의 목소리에 점점 힘이 실린다는 것이다. 

 

미국시장이 지금같은 위치를 갖게 된데에는 

1. 미국의 패권

2. 글로벌로 먹히는 테크기업

3. 주주친화적 자본시장 

4. 401k 같은 장기투자 문화 

 

이런 요인들이 있다. 

한국은 1은 어렵지만 2는 조금 노력해야 하고 3, 4는 의지를 가지고 지속적으로 노력하면 이룰수가 있는 것이다. 

 

예전 시장은 기업이 쉬쉬하고 진실을 뭉게고 금감원 같은 기구에서도 좋은게 좋은거로 흐물흐물 넘어 갔지만 

이제는 무엇이 문제가 되고 있는지 등의 진실, 정보가 쉽게 공유가 되는 환경이다.

 

분명 악재가 많이 나오는 시장이지만 그래도 긍정적인 분위기를 나는 느끼고 있다. 

728x90
Posted by 돌고래트레이너
,
728x90

악재가 난무하는 시장

- 헝다 그룹 

- 인플레 우려, 테이퍼링 

- 인플레발 원가 상승, 수익성 악화 

 

인플레가 일시적이지 않을 이유 -> 공급이 탄력적이지 않다. 

 

주목할 섹터 : 인플레 헷지, 원가구조에 영향받지 않을 기업

   => 금융 (은행, 증권), 리츠, 에너지, 게임, 콘텐츠

 

 

정체하는 산업에도 성장하는 부문이 있다. 

언제나 관심사는 성장하는 무언가를 찾기. 

728x90
Posted by 돌고래트레이너
,
728x90


추석을 앞두고 슬슬 배당주에 대한 관심을 가져볼 시기이다.
현재일 기준 (2021.09.19) 네이버 증권에서 배당수익률 3.85 % 이상 인 종목 중에서
최근 3년 간 배당금이 올랐던 종목만 추려보았다.

배당성향이 과도하게 높은 종목은 별도의 색으로 표시했다. 장기적으로 배당을 유지할수 있을지 의문이 들기 때문이다.
진양홀딩스(1700 억) , 한일네트웍스(730억), 에이리츠(500억) 는 시총이 너무 작다.
디티알오토모티브 는 매출,이익 정체. 배당성향만 높아짐.
이렇게 추리면 결국 은행, 보험, 증권 등 금융주만 남는다.

이중에선 미래에셋증권2우B 가 가장 좋아보인다. 증권업은 per 가 낮고 이익이 좋다.
그러나, 지금까지 좋았던 시장분위기가 반전이 되면 지금이 고점이 될수가 있다. 다만 미래에셋은 자산규모 국내 1위로 앞으로도 성장할 가능성이 있지 않을까 싶다.
여기엔 없지만 삼성전자 우선주도 괜찮은 배당성장주다. 모아가자.



728x90
Posted by 돌고래트레이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