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베트남 시가총액 top 20 입니다. 

 

https://www.investing.com/equities/vietnam

인베스팅 기준으로 작성했습니다. 

부동산 개발이 붐인 것을 느낄수가 있네요. 

금액의 단위는 현지 화폐 기준인것 같습니다. 

시총 1위 기업 ACB 는  113.23T VND(베트남 동) 이며 원화 환산 대략 6조 1700억 입니다. 

Posted by 돌고래트레이너
,
728x90

 

주기적으로 다른 나라의 시가총액 top 20 을 작성했었는데 

가장 최근에 작성한게 21년 이었군요...

 

 

수익률의 증감은 주가를 기준으로 계산된 것이라 분할이나 합병등으로 조정이 생기는 것은 반영이 안되 실제와 차이가 있을수 있습니다. 

대충 순위 변동을 의미있게 보면 될듯한데..

역시나 러-우 전쟁 여파인지 방산주인 라인메탈이 눈에 띱니다. 

SAP 는 21년에도 시총 1위였는데 현재도 1위고 시총 기준으로도 거의 두배 성장했습니다. 

삼전은 거꾸로 가고 있는데 ㅠㅠ

Posted by 돌고래트레이너
,
728x90

대만 시가총액 상위 20개 기업입니다.
원래 대만은 그닥 주요 국가도 아니고 해서 다루지 않으려고 했는데 최근 하락장에도 선방하기도 하고
주로 전기전자 반도체 기업들이 포진되어 있어 반도체가 중요해지는 이 시점에 어떤 기업들이 있는지 알아보는것도 괜찮을듯 해서 다뤄봅니다.

1. GDP 규모


대만 GDP 를 조사하면서 뭔가 이상한 것을 느꼈는데요...


다른나라는 "[국가명] gdp" 를 검색하면 해당 국가의 차트와 비교국들이 결과로 나옵니다.
반면 대만은 기사가 결과로 나옵니다.
위의 순위에서도 20위 터키와 21 위 이란 사이에 대만이 있네요.
대만은 20.5 위 인가요?
대만을 국가로 여기지 않는 것 같습니다. 이런데서도 중국의 압박이 있지 않았나 ..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2. 시총 Top 20

삼성보다 시총이 큰 TSMC 가 1 위 입니다.
아래는 한 기사에 난 tsmc의 3분기 실적입니다.

"TSMC는 14일 실적 설명회(콘퍼런스콜)를 열고 3분기에 4146억7100만대만달러(약 17조5239억원) 매출과 1710억대만달러(약 7조2264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렸다고 발표했다. "

참고로 삼성전자의 3분기 영업이익은 15 조억원 규모입니다.


시총 2위는 모바일 AP 설계를 하는 팹리스 기업 미디어텍 입니다.

서버시장의 cpu는 인텔이 독점하다시피한데 모바일에서는 퀄컴이 그간 승자였습니다.

출처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33112#home


퀄컴이 점유율 1위이던 시절도 예전 이야기였군요..


3위 폭스콘 은 애플의 부품협력사로 유명하죠.
8위 United Microelectronics 은 UMC 로 알려져 있고 파운드리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 LSI 사업부가 이곳에 이미지센서 생산을 맡기기도 했습니다.

17위는 OSAT 업체 ASE 입니다.
TSMC 가 지금처럼 커지면서 그 수혜를 입는 업체가 OSAT 라고 불리는 후공정 업체인데
ASE 가 전세계 top 업체입니다. 그에 반해 한국은 아직 시총 1조 이상 되는 회사가 SFA 하나 정도 인데
앞으로 삼성 파운드리가 잘되면 이분야를 잘 봐야할것 같습니다.

19위 Uni-President Enterprises 는 중국어로 퉁이 그룹 이며 2018 년엔 한앤컴퍼니로부터 웅진식품을 인수하기도 했습니다. 미스터 도넛, 세븐일레븐의 사업권도 보유하고 있습니다.

한 나라(?) 의 산업 포트폴리오가 반도체에 많이 편중되어 있는데 알짜 기업이 많이 있네요.

3. Taiwan ETF

대만에 투자하는 ETF 로는 EWT 가 있습니다. 최근의 조정장에도 별로 하락하지 않았습니다.

Posted by 돌고래트레이너
,
728x90

 

중국과 홍콩을 따로 올릴까 하다가 같이 올립니다. 

 

데이터는 companiesmarketcap.com 자료를 기반으로 만드는데 오류가 있을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Tencent 를 중국으로 분류했는데, 사실 홍콩시장에서 거래가 가능합니다. 

 

보다 정확하게 작성하려면 국가를 정하는 기준을 세우고 종목들 하나하나 확인해가며 분류, 재작성해야 하는데 

그러기에는 제 인건비가 너무 비싸서 걍 원본의 데이터를 그대로 씁니다. 

본 포스팅의 목적이 국가별 산업 구성과 시총의 흐름을 파악하는 것이라서 

이정도면 그냥 목적에는 부합한다 생각합니다. 

 

 

 

 

 

이렇게 놓고 보니 홍콩쪽은 쭉정이들만 남은거 같네요. ㅡㅡ;;

홍콩은 아예 없애야 하는지.. 

 

 

 

Posted by 돌고래트레이너
,
728x90

일본 시가총액 TOP 20 입니다. 

 

일본의 시가총액 TOP 20 종목에 대해서 지난 2월 22 일에 글을 썼습니다. 

증감, 수익률은 2월 과의 비교입니다. 

일본 시가총액 순위 top 20 (2021.02.22 일 기준)

 

매크로 한 사항에 대해서는 위의 링크를 참조해주세요. 

 

상위 20개 종목의 흐름의 최근 한달 흐름이 대체로 좋습니다. 한국과 대조적입니다. 

 

 

 - 특징 : 소프트뱅크의 하락이 눈에 띕니다. 2월 대비 무려 40% 입니다. 

            자동차(도요타, 혼다), 부품 (히타치, 덴소) 주의 흐름이 좋은 것은 한국과 대조적이라 고개가 갸웃해집니다. 

 

여러 나라의 흐름을 보면 한국이 연초에 오버슈팅을 한것이 아닌가하는 생각이 다시 듭니다.

 

Posted by 돌고래트레이너
,
728x90

지난 21년 3월 이후의 업데이트 입니다.

순위변동과 수익률은 3월 데이터와의 비교입니다. 

 

지난 글은 아래 링크에..

프랑스 시가총액 top 20 (2021.03.12 기준)

 

GDP 나 금리 등 매크로한 내용은 큰 변동이 없으니 위에 링크를 참고하세요. 

 

 

 

top 20 에 새로 진입한 종목은 5위에 토탈에너지, 20위에 capgemini 입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토탈에너지의 시총은 6개월간 큰 변화가 없었는데 지난번 집계에서 누락이 되었던것 같습니다. 

12위에 다쏘 시스템은 어마어마한 하락을 기록한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분할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대체로 고르게 상승했습니다. 그에 반해 한국의 시총상위주들은 대부분 1,2 월에 고점을 찍고 우하향의 추세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데 그만큼 에너지를 너무 한번에 터트렸던것이 아닌가 싶네요. 

 

Posted by 돌고래트레이너
,
728x90
Rank Company 시총 가격
1 Apple $2.428 T $146.92
2 Microsoft $2.249 T $299.35
3 Alphabet (Google) $1.897 T $2,853.00
4 Amazon $1.734 T $3,426.00
5 Facebook $995.14 B $352.96
6 Tesla $775.76 B $774.39
7 Berkshire Hathaway $629.02 B $418,101.00
8 NVIDIA $550.25 B $220.81
9 Visa $508.19 B $231.59
10 JPMorgan Chase $487.18 B $163.04
11 Johnson & Johnson $432.67 B $164.36
12 Walmart $399.22 B $143.17
13 UnitedHealth $383.84 B $407.08
14 Home Depot $356.17 B $337.49
15 Bank of America $354.60 B $42.14
16 Mastercard $353.42 B $358.16
17 Procter & Gamble $348.58 B $143.55
18 PayPal $326.78 B $278.11
19 Walt Disney $319.81 B $176.00
20 Adobe $296.65 B $622.71
21 Salesforce $279.63 B $285.63
22 Netflix $262.18 B $592.39
23 Comcast $258.12 B $56.24
24 Pfizer $246.35 B $43.94
25 Oracle $246.27 B $89.94
26 Exxon Mobil $243.81 B $57.59
27 Thermo Fisher Scientific $239.89 B $609.78
28 Cisco $239.27 B $56.73
29 Nike $236.81 B $149.59
30 Coca-Cola $232.62 B $53.89
31 Danaher $231.66 B $324.50
32 Verizon $225.09 B $54.37
33 Eli Lilly $221.62 B $231.68
34 Abbott Laboratories $220.48 B $124.37
35 Intel $219.97 B $54.22
36 Pepsico $213.12 B $154.20
37 Broadcom $207.83 B $504.92
38 Costco $206.77 B $467.75
39 Wells Fargo $196.77 B $47.92
40 Chevron $194.55 B $100.60
41 AT&T $193.70 B $27.13
42 AbbVie $189.21 B $107.07
43 Morgan Stanley $187.76 B $102.91
44 Merck $186.33 B $73.61
45 Texas Instruments $185.24 B $200.65
46 McDonald $184.02 B $246.42
47 Moderna $173.62 B $430.14
48 United Parcel Service $163.77 B $188.02
49 T-Mobile US $161.52 B $129.43
50 Philip Morris $158.69 B $101.82
51 Nextera Energy $158.31 B $80.70
52 Intuit $157.82 B $577.92
53 Honeywell $151.32 B $219.19
54 QUALCOMM $151.01 B $133.88
55 Citigroup $144.26 B $71.18
56 Lowe's Companies $143.93 B $207.87
57 Charles Schwab $142.71 B $75.59
58 American Express $139.59 B $175.72
59 Charter Communications $135.87 B $739.17
60 Starbucks $134.54 B $114.11
61 Bristol-Myers Squibb $133.83 B $60.23
62 BlackRock $133.11 B $874.62
63 Union Pacific Corporation $132.90 B $203.80
64 ServiceNow $131.99 B $666.31
65 Goldman Sachs $131.75 B $390.85
66 Raytheon Technologies $131.42 B $87.16
67 Snap $131.40 B $83.11
68 Boeing $129.76 B $221.39
69 American Tower $128.43 B $282.18
70 AMD $128.33 B $105.80
71 Applied Materials $128.14 B $141.92
72 Intuitive Surgical $124.14 B $1,043.00
73 IBM $123.23 B $137.49
74 Amgen $121.29 B $213.61
75 Square $120.67 B $262.50
76 Target $117.83 B $241.44
77 Estee Lauder $115.84 B $320.65
78 General Electric $113.93 B $103.80
79 CVS Health $111.78 B $84.71
80 Airbnb $110.56 B $175.88
81 S&P Global $109.19 B $453.08
82 Deere & Company $108.28 B $349.25
83 Caterpillar $107.75 B $196.82
84 3M $104.75 B $181.04
85 Stryker Corporation $104.31 B $276.64
86 Booking.com $102.29 B $2,491.00
87 Zoetis $97.03 B $204.73
88 Lockheed Martin $96.78 B $349.52
89 Analog Devices $95.94 B $178.53
90 Snowflake $95.22 B $316.47
91 Prologis $94.55 B $127.90
92 Anthem $92.97 B $381.33
93 Blackstone Group $89.48 B $125.10
94 Altria Group $89.36 B $48.46
95 Gilead Sciences $89.25 B $71.19
96 U.S. Bancorp $88.64 B $59.79
97 Uber $87.86 B $46.63
98 ConocoPhillips $87.06 B $65.02
99 Lam Research $86.94 B $612.48
100 Automatic Data Processing $85.55 B $202.22
Posted by 돌고래트레이너
,
728x90

 

지난 21년 2월 이후의 업데이트 입니다. 

순위변동과 수익률은 2월 데이터와의 비교입니다. 

 

지난 글은 아래 링크에..

독일 시가총액 top 20 (2021.02.27 기준)

 

GDP 나 금리 등 매크로한 내용은 큰 변동이 없으니 위에 링크를 참고하세요. 

 

 

9위의 BioNTech,  17 위의 Hapag-Lloyd 는 새롭게 진입한 종목입니다. 

바이오엔테크는 화이자와 이번 코로나 백신연구를 공동 개발한 파트너사 입니다. 

Hapag-Lloyd 는 컨테이너선을 정기 운용 하고 있습니다.

면면을 보면 급상승에 대해 고개가 끄덕여질만합니다. 

 

BASF 와 Bayer 는 가장 큰 하락폭을 보였는데 업종은 모두 화학 쪽 입니다. 

 

 

Posted by 돌고래트레이너
,
728x90

원래 인도는 유망주이긴 하지만 너무 변두리라 다루지 않으려고 했는데 최근 흐름이 좋습니다. 

 

최근 골드만 삭스에서는 인도에 대해서 긍정적 전망을 보이고 있습니다.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09217238i 

 

'이제는 인도다'…골드만 "인도 세계 5위 주식 시장될 것"

'이제는 인도다'…골드만 "인도 세계 5위 주식 시장될 것", 맹진규 기자, 뉴스

www.hankyung.com

 

한국포함 중국, 홍콩 대만 등 아시아의 증시가 부진하고  미국, 유럽등 선진국도 쉬어가는 와중에 

유독 인도만 신고가를 경신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을 통해서 개괄적으로 인도 경제에 대해서 알아가 봅시다. 

 


1. GDP 

 

 인도의 GDP 는 2019 년 자료상으로 2.8 조 USD 입니다. 

 영국이 10여년간 정체하는 사이 인도가 치고 올라왔습니다. 

 영국의 초등학교 분위기를 보면 여기가 인도인가 영국인가 싶을 정도로 토착 백인들보다 인도학생들이 눈에 띄게 많이 보입니다.  앞으로 인도가 계속 성장하는데도 그런 이민 추세가 이어질지 궁금하네요. 

 


2. 금리, 환율 

 

  인도의 10년물 국채의 yield 는 6.181 % 입니다. 

  한국이나 선진국에 비하면 높은 수준이지만 고점에 비해서는 좀 내려온 편입니다. 

 

 

 

1 달러당 루피의 환율은 0.01355 이며 다른 신흥국 통화와 마찬가지로 장기 하락추세에 있습니다. 

 

그래도 브라질, 터키 보다는 양호한 편입니다. 

 

 

뒤에 살펴보겠지만 그래도 환율이 양호한 이유가 자국 산업구조가 아닌가 싶습니다. 

인도 하면 IT 인데, IT 가 점점 중요해지는 것이 그나마 통화안정성에 기여를 하는 부분이 있지 않나 뇌필셜입니다.

 


3. 시가총액 top 20

 

 

시총 2위의 TCS 는 '타타'로 한국에서도 IT 종사하는 사람들이면 한번쯤은 들어봤을 법한 기업입니다. 

미국 취업을 원하는 IT 인들이 monster.com 등에 이력서 올려놓으면 한번쯤은 여기서 연락이 올겁니다. 

미국에서 IT인력장사(?) 로도 유명하지만 자체 솔루션, 컨설팅 사업도 하고있습니다. 

미국의 IT 기업들은 관리자급은 백인이 주류이지만 실무자급은 거의 인도계열의 사람들이 자리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미국에 취업 원하는 IT 인들은 인도 영어에 익숙해지는 연습이 필수 입니다. 

 

여튼, 시총 상위 기업의 면면이 예상이 가능한 구성입니다. 

거대 내수 규모로 독점적 기업 + 자국의 강점인 IT서비스 + 높은 금리 혜택의 금융 기업들 

이렇게 한줄로 요약이 가능합니다. 

아직까지는 이커머스 나 핀테크 등의 트렌디한 산업의 종목이 보이지 않습니다. 

 


4. 인도에 투자하는 ETF 

 

인도에 투자하는 ETF 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블랙록 에서 관리하는 ishare 시리즈중에 INDA 가 있습니다. 

인도 시총상위 85% 기업을 커버합니다. 

 

예전에는 한국에서 신흥국에 투자하려면 한국의 증권사에서 해당 국가의 주식거래를 취급해야 가능했는데 

지금은 블랙록같은 회사들이 ETF 로 미국에 상장시켜 거래가능하게 만드니까 그냥 여기에 투자하면 됩니다. 

번거로움이 많이 사라졌습니다. 

투자자로서는 다양한 전략이 가능해지는 겁니다. 

 

Posted by 돌고래트레이너
,
728x90

호주 시가총액 top 20 기업입니다.

참고로 저는 companiesmarketcap.com 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작성을 합니다.
따라서 종종 특정 경우에 누락이 되거나 (ex. 우선주 등) 할수는 있습니다.
대략적인 기업규모를 파악하는데는 도움이 될거라 생각합니다.


호주는 지리적으로도 상당히 다른 나라와 거리가 있습니다. 때문에 상당한 기간동안 국제무대에 나오기 보다는 '혼자서 조용히 잘사는' 나라였습니다.
1,2 차 세계대전에서도 모두 직접적인 피해가 없던 몇 안되는 주요국 이었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자국의 풍부한 광물, 해산물, 육류 등의 자원 수출로 자본을 축적하고 그에 따라 점점 국제무대로 나오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또한 패권에 도전하는 중국을 막기위한 QUAD 가입국 으로써도 위상이 점점 중요해지는 것 같습니다.


1. GDP

호주의 GDP 는 (2019년 기준) 1.4 조 USD 입니다.

영연방 국가 아니랄까바 영국, 캐나다, 호주 흐름이 비슷하네요.



2. 금리, 환율


호주 10년물 채권 수익률은 현재 1.628% 입니다. (미국 1.58%, 한국 2.1 %)



1 호주달러(AUD) 에 대한 USD 환율은 0.77 USD 입니다.

2000 년대 들어서 호주 경제 호황으로 호주달러가 강세를 보이다가 2011 년 부터 꺽이기 시작했습니다.
10년 하락세를 이어오다가 다시 최근에 강세로 돌아섰습니다.
(약달러 환경도 있지만) 원자재 쪽이 강한 호주경제를 감안하면 호주달러의 강세는 조금더 이어질것 같아 보입니다.


3. 호주 시가총액 top 20

호주 시가총액 상위 20 기업입니다.
참고로 호주는 MSCI 선진국 지수에 속해있습니다.
한국은 역외 원화거래 개방 조건 때문에 msci 신흥국시장에 속해있습니다.

호주시장의 특징은 자원, 금융 쪽이 발달했습니다. 풍부한 자원이라는 타고난 조건과 영연방, 미국과의 우호 관계 등에서 비즈니스를 뻗어나가기도 유리한 환경입니다.

2010년도에 호주 워홀을 경험했던 사람으로서 콜스, 울워스 등 낯이 익은 기업들이 많이 보이네요.



4. 호주 ETF

호주를 사는 ETF 로 EWA 가 있습니다.


박스권에 갇혀있다가 코로나 이후부터 최근까지 흐름이 좋습니다.

Posted by 돌고래트레이너
,